분류 전체보기
-
-
지니 계수(Gini Coefficient)를 이해해 보자통계이야기 2019. 5. 12. 16:47
지니계수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소득 평등 지표로 사용을 한다고 하는데 지니 계수를 어떻게 해석해 볼 수 있는지 살펴 보려고 합니다. 지니계수가 어떻게 소득 평등 지표로 사용될 수 있었을까요? 지니계수의 단위를 먼저 보면 0~1사이의 값인 소수점으로 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계산하여 소수점이 나왔고 지니계수가 높다는 것은 소득이 균등하다는 것일까요? 아니면 불균등하다는 것일까요?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 수록 평등한 소득, 1에 가까울 수록 불평등입니다. 어떻게 이런 수치를 계산할 수 있는지는 조금 뒤에 다시 이야기해보기로 하고 재미있는 그래프를 가지고 와서 한번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축구 좋아하시나요? 위의 그래프는 유럽 리라리그, 분데스리가, 프리미어리그의 지니 계수를 확인을 했습니다. 리라리그는 ..
-
삼성전자의 반도체와 미래 3부경제이야기 2019. 5. 11. 00:14
지난 2부와 연결되어 삼성전자의 18년도 말부터 이어진 매출 부진을 이어 설명합니다. 위의 기사(출처 : 매일경제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1/4284/)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높은 재고, 수요 부진, 비관적 경기 전망으로 메모리 가격이 큰폭으로 떨어졌고 그로 인하여 매출 부진이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하락 추세는 장기화 될 것으로 현재 상황으로는 삼성전자의 성장동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삼성전자의 미래 성장동력은 어디에서 가져 올까요? 전 세계의 반도체 시장은 비메모리분야 즉 프로세서 부분이 더 큰 성장력을 가지고 있고 메모리 분야 보다 더 큰 시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4차산업 혁명과 관련하여 사물인터넷의 프로세서는 더 중요한..
-
삼성전자의 반도체와 미래 2부경제이야기 2019. 5. 10. 15:22
1부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어떻게 삼성전자는 반도체로 큰돈을 벌 수 있었을까요? 아래 그림을 잠깐 살펴보는 것으로 2부를 시작하겠습니다. 전세계에서 반도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업체는 삼성전자와 애플, 화웨이입니다. 업체의 성격으로 예상해보면 모바일 제품에서 가장 많이 반도체 제품이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곳으로 예상 됩니다. 그 외에 조금 더 보면 델과 레노보 HP, 킹스톤 등의 업체들의 눈에 띄는 성장세가 보입니다. 이런 업체들은 어떤 곳일까요? 우리에게 익숙한 이 업체들은 컴퓨터나 랩탑 등을 생산하는 업체인데 컴퓨터의 구매량이 늘어난 것일까요? 이러한 물음의 답변을 먼저 하자면 이 업체들은 서버 컴퓨터를 세계에서 많이 파는 업체로 전세계의 서버 사용량이 늘어난 것으..
-
삼성전자의 반도체와 미래 1부경제이야기 2019. 5. 9. 16:40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끝난 뒤, 삼성전자의 대부분의 이익은 반도체에서 나오고 있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1에서 보면 DS본부의 영업이익이 수직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2018년 초, 중반에 반도체 호황으로 높은 영업이익을 얻었습니다. 특히, 18년도 초에 전체 매출이 줄었지만 영업이익이 유지되고 있는 점도 눈여겨 볼 부분 입니다. 하지만, 그림2에서 2018년 4분기 부터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삼성전자의 상황을 자세히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그림 3에서는 안보이지만 전세계의 반도체 시장을 보면 2016년 이전에 Intel이 가장 높은 수익을 보여주고 있었고 삼성이 바짝 뒤쫒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7, 18년에는 삼성의 반도체 이익이 폭..